240108
2024. 1. 30. 20:50ㆍ코딩 교훈 기록
# n = int(input())
# if n == 1:
# print('일')
# elif n == 2:
# print('이')
# elif n == 3:
# print('삼')
from operator import eq
n = input()
if eq(n, '1'):
print('일')
elif eq(n, '2'):
print('이')
elif eq(n, '3'):
print('삼')
m = "1"
q = new "1"
문자열은 ==이 안된다! eq 함수로 같은지 확인하는 것이었다…
n = int(input('당신의 출생년도는 언제입니까?'))
gen = None
if n <= 1924:
gen = '가장 위대한 세대'
elif 1925 <= n <= 1945:
gen = '침묵 세대'
print(f"당신은 {gen}입니다.")
f”{}” → 변수를 포함한 문자열을 f로 묶어서 form 으로 만들어서 쓸 수 있다.
'코딩 교훈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수 내 global 선언이 필요한 객체와 그렇지 않은 객체 (0) | 2024.02.13 |
---|---|
리스트 컴프리헨션과 조건문 (0) | 2024.02.11 |
리스트 언패킹 하는 2가지 방법의 차이 (0) | 2024.02.05 |
알면 유용한 PyCharm 단축키 (0) | 2024.02.05 |
웹 사이트에서 코딩 문제를 풀 때 (0) | 2024.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