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 교훈 기록
파이썬 f-string 문자열 포맷팅 (소수점 자릿수 지정)
Disciple428
2024. 2. 23. 12:05
f-string 중괄호 { } 안에서 : 구분자를 이용하고 : 구분자 오른편에 . 자릿수 f를 써준다.
자릿수 뒤에 붙는 f는 실수의 f를 의미한다.
자릿수까지 반올림하여 표현하게 된다.
- 예시 코드
print(1234567890)
print('%6d'%(111)) # 6자리를 가진다
print('%06d'%(111)) # 6자리를 가지고, 빈자리는 0으로 채움
print('%6.2f'%(11.123124)) # 6자리를 가지고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현
print('%06.2f'%(11.123124)) # 6자리를 가지고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현, 빈자리는 0으로 채움
# 1234567890
# 111
# 000111
# 11.12
# 011.12
% 와 d 사이에 숫자는 포맷팅을 통해 표현되는 숫자나 문자의 자릿수를 의미한다.
즉, 위에서 %6d는 111을 표현하되, 총 6자리를 차지한다는 의미다.
그리고 기본값은 오른쪽 정렬 기준이다.
이 때 %06d 라고 적으면 총 6자리 중에 오른쪽 정렬로 포맷팅하는 숫자를 표현하고 남는 자리는 0으로 채운다.
%6.2f 라고 하면, 총 6자리를 차지하되, 소수점 이하 둘째자리까지만 표현하라는 의미다.
이 때도 %06.2f 라고 하면 총 6자리 중에 빈자리는 0으로 채우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