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7. 4. 01:29ㆍCS 공부, 기타
- UI (User Interface)
UI는 사용자가 제품/서비스를 사용할 때, 마주하게 되는 면이다. 즉, 사용자가 제품/서비스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매개체인 것이다. 따라서 UI 디자인은 폰트, 칼라, 레이아웃과 같이 사용자가 마주하게될 시각적인 디자인을 말한다.
- UX (User eXperience)
UX는 사용자 경험의 약자로, 사용자가 어떠한 서비스/ 제품을 직간접적으로 이용하면서 느끼는 종합적인 만족을 의미한다. UX 디자인이란 사용자에게 만족스러운 경험을 제공하는 UI를 디자인 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만족할 수 있도록 사용자 중심적으로 설계된 디자인이라고 볼 수 있다.
사용자 경험(UX)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해주느냐에 따라 소비자에게 선택되는 여부가 결정된다.
코로나 이후 음식 주문, 택시, 호텔 예약, 물건 구매, 송금 등 일상의 많은 부분들이 디지털로 대체되었다.
선택되는 서비스 / 선택되지 않는 서비스 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쓰기 어렵고 불편? 사용하기 편리? 복잡하고 어려움? 간단하고 쉬움?
⇒ 궁극적인 차이점은 UX 디자인에 있다
- 사용자에게 선택되는 서비스를 만드는 UX 디자인
- 적합성 고민
- 실현 가능성 고민
- 지속성(사업타당성) 고민
아마존 워킹 백워드
⇒ 만들어놓고 필요성을 역설하지말고 사람들이 진정 필요로 하는 것을 먼저 만들자!
CX (customer experience) 선두 그룹은 후발 주자에 비해 큰 매출 차이를 드러낸다고 통계가 말하고 있음
- UX 디자인
기업에게 의미있으면서도 사용자에게 가치있는 경험을 제공해줄 수 있도록 기업의 제품/서비스를 만들고 운영하는 활동
- 사용자 (User)
소비자 → 아직 구매하기 전 단계 ⇒ 효과적 구매 제공과 거래 과정에 초점
고객 → 구매 이후 단계 ⇒ 충성 고객 전환 노력과 관계 과정에 초점
사용자 → 제품을 사용하는 단계 (경험) ⇒ 제품과의 상호작용, 기능/콘텐츠 직접 사용하는 경험에 초점
- 소비자 행동 방식의 변화
before : 주의, 관심을 갖고 욕구를 갖게 되어 기억하고 구매행동을 함
after : 주의, 관심을 갖고 검색을 하고 구매한 후에 공유를 함 → 실제로 어떤 것이든 구매하거나 방문하기 전에 습관적으로 방문 후기를 읽어보지 않는가
- 사용자 경험 (User Experience)
택시를 타는 경험 예시
⇒ 잡기 어렵거나 목적지가 기사님 마음에 안 들면 탑승을 거부당하거나 돈을 더 달라고 하심. 목적지까지 가도 카드 계산이 안되거나 현금 계산을 요구 당하기도 함 ⇒ 부정적인 사용자 경험
- 사용자 경험 디자인 (User Experience Design)
일반적인 디자인 : 아름다운 무엇을 만드는 것
그러나 Design ≠ ART
1. Design
사용자가 있다
해결해야 하는 이슈, 문제가 있고 제약이 있다.
쓰여지고 상호작용을 겪는다
기능, 형태가 중요함
사용성, 편리함, 쉬움
2. ART
자신을 표현함
내가 원하는 걸 표현함
사람들이 보기만 함
스타일이 중요함
아름다움
그런데 우리는 디자인을 아트스럽게 기획할 때가 있다.
특정 분야의 서비스/제품 등의 가치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기획이 되어야 함
사용자를 고려하는 것이 포함되어야 맞다.
- User Experience Design
기업이 의도를 가지고 사용자에게 경험 가치를 주는 제품/서비스를 만드는 활동
- 디지털 프로덕트
앱, 웹, IoT, 워치, PC 애플리케이션….
= Digital Product
1. UX 디자인
신규 제작
사용자 정의
경험 정의
제품 컨셉 구체화
2. 프로덕트 디자인
기존 프로덕트
고도화, 유지 보수, 관리
이슈 해결, 개선
- 3가지 디자인 개념 비교
1. UX 디자인
사용자 요구사항, 비즈니스, 내부 이슈를 조율
추상적 목표 가치 수립
UX 전략 (방향성), 주요 기능, 콘텐츠안이 산출됨
2. UI 디자인
디바이스 지정, 구조, 구성 기획
구체화된 목표, 기획안 수립
인포메이션 아키텍처, 네비게이션, 레이아웃 디자인 등이 산출됨
3. GUI 디자인
비주얼 디자인, 브랜드를 반영
디자인 이미지, 스타일 가이드 등이 산출됨
- 사용자 경험 요소
(구체적)
표면층 GUI
골격층
구조층 UI
범위층
전략층 UX
(추상적)
- User Interaction Design
UX 와 UI 의 관계, 상호작용
- 디지털 프로덕트의 특징
작은 반복과 개선이 병행
중간에 방향을 잃기 쉬움
어느 정도 진행된 후에는 바꾸는 데 공이 많이 들어감
개별 작업도 중요하지만, 팀 공동 작업임
⇒ 사용자 경험 요소 모델을 기반으로 언제 무엇을 해야하고, 다른 파트와 어떠한 부분의 결정을 해야 하는지 체크하기
- UX 디자인 구성 요소 : 방법론 - 프로세스 - 방법
ex) 더블 다이아몬드 방법론
발굴 - 결정(정의) - 개발 - 전달
프로젝트 처음부터 끝까지 고객에 방점을 두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임
기획을 하고 생각을 고도화하는 방법론임.
방법론 : 한 기업이 여러 프로젝트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연속적인 성과를 얻어낸 업무의 진행 단계와 그 세부 작업의 내용
기본적으로 초기 기획은 보이지 않는 사용자 경험을 제품/서비스로 구체화하기에 이러한 방법론 - 프로세스를 활용한다.
주요 방법론 ⇒ 디자인 씽킹, 더블 다이아몬드, 린 UX, 구글 디자인 스프린트, 밸류 프로포지션
1. 디자인 씽킹
정의하기 어려운 문제나 찾아내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세스로 각 단계가 유기적으로 반복되는 특징을 지님
공감 - 문제 정의 - 아이디어 찾기 - 시제품 만들기 - 평가하기
2. 더블 다이아몬드
직면한 하나의 이슈를 깊고 넓게 탐구한 후 하나의 인사이트로 생각을 좁히고, 다시 한번 더 생각을 확장하여 아이디어를 찾고 가장 적합한 하나의 아이디어로 좁혀나가는 특징을 지닌다.
Discover - Define - Develop - Deliver
3. 린 UX (Lean UX)
순환적이고 반복적으로 개선해나가는 프로세스로,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의 흐름과 다양해지는 고객의 니즈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대안책으로 떠오른 프로세스
아이디어 ↔ 검증 ↔ 구현
4. 디자인 스프린트
디자인적 사고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5일 안에 의사결정을 빠르고 신속하게 처리하는 프로세스로, 짧은 기간 내에 중요한 비즈니스 질문에 대한 통찰력을 확보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특징
이해 - 발산 - 결정 - 시제품 제작 - 평가
한번 오케이 나오면 뒤에 딴소리하기 없기!
5. 벨류 프로포지션
- 가치 제안 캔버스 (Value Proposition Canvas)
고객이 기업의 제품 또는 서비스에서 기대할 수 있는 이점들을 요약 기술하는 디자인 방법론
가치 제안 캔버스 작성을 통해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이익과 가치를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고 특정 고객에게 부합하는 실질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음
- 권장 주요 UX 방법
사용자 시나리오와 스토리보드의 작성
와이어프레임 스케치, 프로토타이핑
대고객 테스트 - 어떤 형태든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