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ject Management

2024. 7. 4. 01:35CS 공부, 기타

프로젝트 관리 = 일정 관리 ??

 

  • 프로젝트 정의

한시적 수행기간 + 독특한 산출물

타이트하게 수행기간을 두고 업무를 수행!

 

↔ 운영 업무 (Operation)

수행기간 제한 없이 반복적인 업무 계속 하는 것

이런 업무는 인공지능 발전에 따라 자동화 시스템이 대체하게 됨

차세대 인재는 프로젝트를 잘해야 한다!

 

  • PM 구성요소

1. 범위 관리

요구사항 정의 (요건, 기능)

담당자, 역할을 정의

일의 분량(기능) 선택

 

2. 일정 관리

각 사람이 자기 역할을 제 시간에 해주어야 함

마감 날짜 준수

WBS

 

3. 원가 관리

돈 쓰게 되면 신경써야 함

예산 및 자원 확보

 

1970년대에는 이렇게 3대 제약조건이 있었고 이 조건들을 잘 지키면 프로젝트를 성공한다고 보았다.

 

4. 품질 관리

1980년대에 들어서는 품질을 낮추면서 위 3대 조건만을 지키는 것에 한계를 느끼고 품질도 관리 조건에 추가함.

일의 난이도를 조정

이상이 4대 제약 조건

 

5. 자원 관리

위 조건들을 지키기 위해 사람들을 갈아넣는 것을 문제시하여 이제 인적 자원도 관리 조건에 추가

 

6. 의사소통 관리

팀 내에서 의사소통 제대로 하기

팀 분위기

 

7. 리스크 관리

 

8. 조달 관리

적당하게 아웃소싱을 활용한다.

 

그 외에 [9. 통합 관리]와 [10. 이해관계자 관리]를 추가하여 10가지 관리 조건이 있다.

굳이 하나만 꼽자면 통합 관리(=의사 결정을 잘 관리하라)를 가장 중요

 

  • 프로젝트 생명주기 비교

1. 예측형 생애주기

분석 - 설계 - 구현 - 테스트

전체계획 → 전체 실행 (1회 완성)

Default 모델, 클래식!

 

2. 반복형 생애주기

전체계획 → 전체 실행

근데 반복해서 완성함 (6주 과정 → 4주 과정 이런 식으로)

 

3. 점증형 생애주기

부문계획 → 부문실행

점진적 완성, 부분 부분을 계획해서 완성해나감.

 

4. 애자일 생애주기

반복형 + 점증형

빨리 완성하고 빨리 배포하고 빨리 피드백 받기!

수시로 결과를 전달

 

  • Work Breakdown Structure (WBS)

프로젝트의 범위를 ‘관리 가능’한 수준까지 작업으로 분할(세분화)한 것

→ 관리 가능 = 계획 가능 + 통제 가능

→ 계획 가능 = 일정원가를 추정 가능 = 역할책임을 정의 가능

→ 통제 가능 = 계획 대비 실적을 비교 가능 = 명확한 시정조치 권고 가능

⇒ 전체 업무, 기능에 대해 누가 해당 업무를 담당하고 언제까지 해야하는지를 문서로 정리해둔다. 이것만 있어도 일정 관리가 어느정도 가능해진다.

 

  • WBS 분할 과정
  1. Phase : 프로젝트 관리 방법 (=단계 구조) 선택 → 예측형, 반복형, 애자일…
  2. Scope :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범위기술서 작성
  3. Deliverables (Work) : 범위를 구성하는 결과물 식별 (What to do 관점)
  4. Activities : 인도물을 만들기 위한 과정을 상세화 (How to do 관점)
  5. Task : 세부 활동 목록

⇒ 소규모 프로젝트의 WBS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차적 분할이 바람직하다.

대규모 프로젝트는 계층적 구조 (방법론)에 따라 WBS 골격을 만든 후 세부사항에 대해 시간적 흐름으로 작업을 분할한다.

다만 소규모 프로젝트는 정형화된 방법론을 적용하지 않기 때문에 시간 흐름에 따라 작업을 분할한다. (=Gantt Chart)

 

  • Gantt Chart VS WBS

Gantt → 상세한 계층구조 보다는 전체 업무를 조망하도록 작성, 소규모 프로젝트에 적합

WBS → 계층화 지향, 작업 순서를 시각화, 자원에 대한 업무 배정

 

누가 담당했고 언제 시작해서 언제 끝나는지는 꼭 정해서 서로 공유해야 한다!

 

  • Milestone (마일스톤)

마일스톤은 핵심 이정표에 해당하는 활동으로서 착수보고, 중간보고, 종료보고가 대표적인 사례다.

일반적으로 단계 종료시점이나 중요한 작업이 완료된 시점을 마일스톤으로 정의하며 공식적으로 이해관계자에게 프로젝트 진행과정을 공유한다.

 

  • WBS 활용의 효과

업무의 불필요한 변경을 방지

일정 & 원가 산정의 정확도 향상

팀원과 이해관계자 간 의사소통을 촉진

전체 팀원의 합리적 업무 배정

진척 관리의 핵심 도구로 활용됨

프로젝트 리스크 식별의 기초 자료

 

  • 프로젝트 일정을 위협하는 2가지 요인

1. 학생증후군

학생들이 시험 직전에 공부를 열심히 하는 것처럼 프로젝트 기한이 얼마 남지 않았을 때 열심히 해서 많은 업무량을 수행해냄.

근데 이렇게 하면 실수가 많아지고 품질도 떨어짐.

프로젝트 일정계획을 수립할 때 마일스톤과 마이크로스톤을 활용하여 중간보고, 중간점검, 중간목표를 두면 학생증후군 예방이 가능하다.

애자일 방식과 비슷하다.

 

2. 멀티태스킹

동시에 많은 일을 하다가 품질이 떨어짐.

아날로그 칸반 보드를 활용해서 각자의 업무 상황을 공유하고 업무가 과중해서 힘든 팀원을 서로 도와줄 수 있다.

'CS 공부,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커와 쿠버네티스  (0) 2024.07.05
Jira 활용  (0) 2024.07.04
프로젝트 기획  (0) 2024.07.04
UI / UX  (1) 2024.07.04
240112  (1) 2024.01.30